본문 바로가기

노마드 _ 문명을 가로지른 방랑자들, 유목민이 만든 절반의 역사

 

 


인류의 발전된 역사를 더듬어 올라가다 보면 만나게 되는 유목민에 대한 얘기는 영화나 기타 다른 것들에서 보듯 일부분은 미개인처럼, 일부는 떠돌이 방랑자들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이 책을 읽은 후라면 기존의 유목민에 대한 관점을 달리 바라봐야 함을 일깨우는데 내용 자체도 지루하지 않게 스토리텔링에 충실한 저자의 고른 소재의 적절한 배치로 인해 더욱 재미를 느끼며 읽을 수 있었다.

 

 

우리들이 배워왔던 기초 지식에는 오래전 인류의 출현부터 시작해 수렵인에서 농경생활로 접어들면서 집단생활, 기초적인 국가의 틀과 이후 여러 가지 기초 체제가 이루어졌단 사실을 익히 알고 있는바, 그렇다면 이런 역사 속에서 유목민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일까? 에 대한 궁금증이 먼저 들었고 그가 전개해 들려주는 이야기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정주 인구가 있기까지 유목민이 있었고 이 유목민들이 이룬 그들의 역사가 오늘날 중요한 매개체이자 역사의 산실임을 일깨운다.

 

 

카인과 아벨의 대결부터 시작해 튀르키예의 퀴베클리 테페로 이어지면서 오래 시간이 흘러 이들이 지금의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뿌리이며 이들이 파생된 국가의 출현은 세계사 역사의 굵직한 큰 획을 그었다는 사실을 들려준다.

 

 

노마드란 말의 유래에서 보듯 정주하지 않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이주와 정주를 반복하는 삶, 그 안에서 제국을 일구고 서양인들에게 공포로 자리 잡은 아틸라, 몽골제국, 페르시아 제국, 인도, 이집트,  대륙의 각 곳에 살고 있던 원주민들...

 

 

 

 


세계사를 섭렵하듯이 들려주는 내용은 스텝이란 천혜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말을 타고 초원을 누비며 정복해 가는 그 일련의 행동들이 지금의 정주란 기본에 익숙하며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하나의 자유로움과 방임, 그 이상의 다양한 문화포용과 실크로드에 대한 그 시대를 연상 상상해 볼 수 있게도 하고 유목민에 대한 실상을 제대로 알 수 있는 계기가 되면서 지금도 여전히 우리들 유전자 안에서는 이러한 노마드 기질이 잠재해 있는 것은 아닐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

 

 

 

실제 지금도 유적 발굴 현장이나 그 뒤에 담긴 역사를 추적해 가는 사례들을 통해 저자는 우리들의 역사는 정착민과 유목민의 조화로 인한 세상으로 이워졌으며 어느 한쪽에 치우진 결과물로 탄생한 것이 아니란 사실을 말한다.

 

 

 

 

 

유목민이 이룬 방대한 역사의 발자취는 문자로 기록됐는가, 아닌가에 대한 추적 과정도 달리 보이지만 서양인의 눈에 비친 관점의 역사가 오늘날 우리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하는 부분들도 없지 않기에 이 책을 통해서 역사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바라보는 자세는 물론이고 단순히 양과 소를 몰로 다니며 넓은 초원에 한가롭게 묻혀 지내는 사람들이란 인식은 달리 바라봐야 할 것 같다.

 

 

 

그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역사 일부분이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만큼 저자의 솔직한 여행기와 함께 곳곳에 담겨 있는 역사 유적과 인류의 이동을 한눈에 쉽게 바라볼 수 있어서 유용한  책이란 생각이 든다.

 

 

 

특히 디지털 노마드란 말이 자주 오르내리는 요즘 유목민들로부터 시작된 노마드의 여정이 지금도 여전히 진행 중이며 그렇기에 노마드란 말이 품고 있는 그 이상의 뜻을 더 이상 간과하지는 말아야겠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워  (2) 2024.07.24
활자 잔혹극  (1) 2024.07.23
두 번째 아이  (0) 2024.07.16
퀸의 대각선 1. 2  (4) 2024.07.15
도둑 신부 1. 2  (2) 2024.07.12